이번에 리뷰해드릴 책은 정말 강력추천해 드리는 책입니다. 돈에 관한 사고방식을 한순간에 바꿔줄수 있는 책입니다. 바로 저자 엠제이 드마코의 부의추원차선이라는 책입니다. 부를 실현하는 방법엔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그중 단기간에 부를 축적하려면 부의 추월차선에 올라타야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저자의 경험을 토대로 실제 어떤 방식을 부를 축적했고, 어떤 사업들이 부를 축적하기 가장 적합한지 상세히 알려주고 있습니다.
제목은 부의 추월차선 입니다.
저자는 엠제이 드마코입니다.
자본주의 시대에 살고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꼭 한번쯤은 읽어야한다고 생각하는 책입니다. 돈에 대한 생각과 부에 대한 생각을 송두리째 바꾸게 만드는 책이기 때문입니다. 흔히들 노동없는 부는 옳지 않은 것이라고 배웁니다. 그래서 우리들은 일을하고 돈을 버는 것이 정당하고 당연하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책에선 이런 기존의 사고방식을 부정합니다. 일하지 않고 돈을 버는게 가장 좋은것 아닌가라고 말입니다. 물론 합법적인 방법으로 돈을 버는것을 말합니다. 책에 이런 내용을 접했을 때 저는 망치로 머리를 맞은 듯한 기분을 느꼈습니다. 저도 지금까지 일을해서 돈을 벌 생각만을 해왔기 때문입니다. 공무원을 준비하는 것도 취업을 위해 스펙을 쌓는 것도 모두 취직을해 돈을 벌기 위함입니다. 저자는 이렇게 말합니다. 사람들은 일을해서 돈을 벌고 있다. 9시에 출근해서 6시에 퇴근하는 직장을 다니며 돈을 벌고 있다. 이렇게 일을 해서 돈을 버는 것은 다시 말해 시간으로 돈을 버는 것이다. 저자가 말하는 '시간으로 돈을 번다'에 중요한 시사점이 있습니다. 직장을 다니며 정해진 시간에 출근을하고 정해진 시간에 퇴근을 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입니다. 심지어 정해진 시간에 퇴근을 하지못하는 사람들도 많은게 현실입니다. 이렇게 시간으로 돈을 벌면 더 많으 부를 축적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적어진다고 저자는 말합니다.
부를 축적하는데 여러가지 중요한 요소들이 있다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에 전부 부합해야 폭발적인 성장을통한 부를 축적할 수 있다고 합니다. 요소들 중 한가지를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영향력의 범위가 그 예입니다.. 이는 나의 가치창출 행위가 어느정도의 범위 까지 영향을 미치느냐에 관한 내용입니다. 동네 가판대에서 귀걸이,목걸이,팔찌 등의 액세사리를 파는 A라는 사람과 인터넷을 활용하여 액세사리 쇼핑몰을 운영하며 전국을 대상으로 판매를 하는 B라는 사람을 비교한다면 누가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을까요? 이처럼 영향력의 범위에 따라 부를 축적할 수 있는 한계치가 다르고 그렇기 때문에 최종적인 부의 축적에 큰 차이가 난다고 합니다. 이렇게 저자는 부를 단기간에 축적할 수 있는 부의 추월차선에 올라탈 수있는 방법과 공식을 몇가지 요소로 구성해 예를 들며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심지어 어떤 분야가 부를 축적할 가능성이 큰지 콕 찝어주기도 합니다. 한번 가치를 창출해 놓으면 내가 따로 시간과 노력을 들이지 않아도 지속적인 부를 가져다주는 것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책 출간이 있습니다. 물론 아주 큰 부를 축적하기 위해선 책을 잘 써야해야한다는 추가조건이 있지만, 방법론적으로 한번 창출해놓은 가치로 지속적인 부를 가져다주는 예로 책 출간을 언급한것 입니다.
저도 현재 직장을 다니며 제 시간과 월급을 교환하고 있습니다. 이 책을 읽고 최우선 목표가 생겼습니다. 일을 하지 않고, 혹은 하루에 2~3시간 정도로 제 시간을 투자해 한달 150만원의 고정수입을 얻는 것이 목표입니다. 더 이상 시간과 돈을 교환하지 않고, 일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남는 시간에 제가 진정으로 하고 싶은 활동과 더 많은 독서와 배움으로 더 큰 부를 창출해낼수 있는 사업구상을 하려합니다. 리뷰 첫문장에 자본주의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꼭 한번 쯤은 읽어봐야한다고 했습니다. 다시 이 문장을 상기시키며 리뷰를 마치겠습니다.
'책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리뷰] 카피 책 / 정철 (0) | 2016.08.16 |
---|---|
[책 리뷰] 컬러 앤 라이트 / 제임스 거니 (0) | 2016.08.16 |
[책리뷰] 심플을 생각한다 / 모리카와 아키라 (0) | 2016.08.12 |
[책리뷰] 주식투자는 두뇌게임이다 / 이태혁 (0) | 2016.08.11 |
[책리뷰] 100달러로 세상에 뛰어들어라 / 크리스 길아보 (0) | 2016.08.09 |